chnh.dev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chnh.dev

메뉴 리스트

    • 분류 전체보기 (22)
      • ☁️ AWS (12)
      • ⚙️ Kubernetes (2)
      • 📃 Terraform (2)
      • 🔄 CICD (3)
      • 📈 Observability (0)
      • 🗳️ Data (2)
      • 🔘 OS (1)

    검색 레이어

    chnh.dev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 Terraform

    • Terraform 코드 네이밍 컨벤션

      2023.07.13 by chnh

    • Terraformer로 기존에 사용 중인 AWS 인프라를 Terraform 코드로 가져오기

      2023.05.12 by chnh

    Terraform 코드 네이밍 컨벤션

    들어가며 이미 잘 사용하고 있는 분들이 많겠지만, 개인적으로 한번쯤 정리해보고 싶었던 부분이라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리소스를 생성하든, 함수를 생성하든 나에게 이름을 짓는 순간은 가장 심혈을 기울이게 되는 순간 중 하나이다. 미래의 나를 위한 가독성, 협업을 위해서, 유지 보수, 오류 감소, 문서로서의 역할 등등... 네이밍 컨벤션이 중요한 이유는 넘친다. IaC 도입의 긍정적인 효과—공동작업과 재사용성, 기술의 자산화 등—을 온전히 누리기 위해서는 네이밍 컨벤션에 대한 협의가 반드시 이루어져야한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하면 '좋은' 인프라를 위한 네이밍을 할 수 있을지 Best Practice를 기반으로 정리하였다. 주관적인 견해와 수집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므로 다음 내용이 정답이 아님을 미..

    📃 Terraform 2023. 7. 13. 14:20

    Terraformer로 기존에 사용 중인 AWS 인프라를 Terraform 코드로 가져오기

    들어가며 기존에 생성되어있던 리소스들을 terraform으로 관리하려면 설정(Configuration)과 상태(State)를 다 가져와야한다. terraform코드를 생성할 때 vpc.tf, ec2.tf 처럼 각 리소스에 대한 설정 파일을 작성한다. 그리고 이 설정 파일들을 plan하고 apply하면 코드가 생성되고 terraform.tfstate 파일에 기록된다. terraform import를 사용하면 리소스의 상태 파일은 업데이트 되지만 설정 파일을 만들어주지는 않는다. 때문에 설정파일이 없는 상태에서 import를 진행하면 terraform.tfstate파일만 생기게 되고, plan을 했을 때 리소스가 지워지게 된다. 이미 생성된 많은 리소스들의 구성파일을 일일히 작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콘솔이..

    📃 Terraform 2023. 5. 12. 16:1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chnh.dev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